반응형

자연과학&의학 5

태양계 밖에 외계행성이 있다? 신비로운 세계에 대한 놀라운 이야기

끝없이 펼쳐진 우주는 상상을 초월하는 세계를 품고 있습니다. 그 중 외계행성(Exoplanet)은 태양계 밖에 위치한 행성들로, 천문학의 가장 흥미로운 연구 대상 중 하나입니다. 외계행성 연구를 통해 우리는 지구가 가진 우주에서의 위치를 이해하고, 다른 별들 주위를 도는 세계에 대한 놀라운 이야기를 알 수 있습니다. 1. 외계행성 존재의 발견외계행성의 존재는 오랜 시간 동안 이론적으로 논의되어왔지만, 1992년에 처음으로 그 실체가 확인되었습니다. 펄사 PSR B1257+12 주위를 도는 행성들이 최초로 발견된 후, 1995년에 태양과 유사한 별 51 Pegasi 주위를 도는 행성이 발견되며 천문학의 새로운 시작을 알렸습니다. 외계행성을 발견하는 방법에는 몇 가지 중요한 기술이 있습니다.도플러 분광법: ..

자연과학&의학 2025.01.08

지구의 과거를 읽는 방법? 층서학을 활용해 지질학 타임머신을 타다.

약 46억 년이라는 긴 역사를 지닌 행성인 지구는 방대한 시간 속에서 다양한 환경과 생명체의 변화를 겪어왔습니다. 하지만 그 긴 시간을 함께 살아오지 않았던 우리는 수억 년 전의 지구의 모습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답은 층서학(Stratigraphy)이라는 지질학 분야에 있습니다. 층서학은 지구의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타임머신"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층서학의 기본 원리를 알아보고 이를 활용해 지구 역사의 복원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1. 층서학의 정의층서학이란 지구 표면에 쌓여 있는 암석과 퇴적층을 연구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질학적 변화와 환경을 해석하는 학문입니다. 지구 표면에 만들어진 퇴적층은 켜켜이 쌓여있으며, 각 층은 특정 시기의 환경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마치 고대 문서를 해..

자연과학&의학 2025.01.08

석회암의 용식작용이 만들어낸 자연의 신비, 돌리네

1. 돌리네의 정의한반도 곳곳을 여행하다보면 땅이 푹 꺼진 지형을 종종 보게된다. 이는 돌리네 (용식함지)로, 카르스트 지형의 탄산염암의 화학적 용해 또는 지하 침윤 과정으로 발생한 지형이다.  2. 돌리네의 크기직경과 깊이 모두 1m에서 600m까지 다양하고, 그 형태도 흙으로 된 그릇 모양에서 기반암의 골까지 다양하다. 돌리네는 서서히 형성되기도 하고 갑자기 나타나기도 하며, 전세계적으로 발견된다.  3. 돌리네의 생성돌리네는 카르스트 지형에서 석회암의 용식 작용으로 생성된다. 돌리네에 내린 빗물은 싱크홀이라고 불리는 배수구를 통해 땅속에 스며든다. 돌리네의 지하에는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빈 공간이 존재하여 물이 잘 빠질 수 있다. 4. 석회암의 용식장용의 산물, 테라로사석회암은 용식 작용을 통해 ..

자연과학&의학 2025.01.05

혈액과 림프계에 생기는 혈액암 초기 증상 및 진단과 치료

1. 정의혈액암은 아래 3가지로 정의됩니다.첫째, 혈액을 만드는 조혈세포에서 암세포가 만들어지는 백혈병둘째, 감염과 질병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림프구에서 암이 발병하는 악성 림프종셋째, 항체를 만드는 형질세포에서 암세포가 만들어지는 다발성 골수종 림프종을 제외한 혈액암은 일반암에 비해 생존율이 낮은 편입니다.  2. 초기 증상백혈병 초기에는 빈혈로 인한 피로감, 쇠약감과 더불어 혈소판 감소로 인한 붉은 반점, 멍, 코피, 잇몸 출혈 등이 보여집니다. 목, 겨드랑이 등의 림프 부위에 혹이 만져지거나 이유없이 고열, 복부 팽만, 소화불량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질병이 더욱 진행될 경우 오심, 구토, 경련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3. 붉은 반점 증상1) 왜 생기나? 혈액 내 혈소판 수치가..

자연과학&의학 2025.01.05

생명과학의 관점에서 보는 혈액형 별 성격 차이

"A형이라 소심할 것 같아""O형이니까 리더십이 강하지 않을까?" 이런 이야기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과연 혈액형은 A형, B형, O형 AB형으로 나누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걸까요?결론만 이야기하면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의 존재에 따라 구분됩니다. A항원과 B항원의 유무에 따라  A형, B형, O형 AB형으로 나뉩니다.  A항원만 있으면 A형, B항원만 있다면 B형, 둘다 있다면 AB형, 둘다 없다면 O형이 되는 식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항원의 존재 유무에 따라 성격이 달라질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들이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준 연구는 없습니다.  즉 혈액형은 단순히 적혈구 표면의 항원 유형을 나타낼 뿐..

자연과학&의학 2025.01.05
반응형